ETF 환율 효과 완전 정리, 지수만 보면 반쪽 투자?

S&P500·나스닥100 ETF 성과, 진짜 변수는 환율?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즐겨 찾는 해외 ETF 수익률은 단순히 지수의 움직임이 아니라 환율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 왜 환율을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지 알려드립니다. 저도 처음 해외 ETF에 투자했을 때는 지수의 등락만 보면서 “오늘은 미국장이 올랐으니 내 계좌도 수익이겠지~ 😊”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막상 확인해보니 수익률이 예상과 달라서 당황했던 적이 있죠. 원인은 바로 환율 이었어요. 특히 S&P500과 나스닥100을 추종하는 ETF는 많은 투자자들이 들고 있는 대표 상품인데, 같은 지수를 따라가도 환율에 따라 성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기 쉽습니다. 그럼 환율이 ETF 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환노출형과 환헤지형의 차이가 무엇인지 하나하나 풀어서 살펴볼게요. 환율의 영향, 두 얼굴의 칼날 ⚖️ 해외 주식이나 ETF의 기준가는 달러로 평가됩니다. 그런데 우리 투자자 입장에서는 원화로 환산해야 하니까, 결론적으로 수익률은 지수 변동 + 환율 변동 의 합으로 나타나요.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바로 환노출형 과 환헤지형 ETF입니다. 💡 환노출형 vs 환헤지형 • 환노출형 → 환율 변동을 고스란히 반영 • 환헤지형 → 환율 영향 제거, 지수만 추종 (대신 비용 발생) 예를 들어 나스닥100이 2% 오르고, 원/달러 환율이 3% 상승했다면, 환노출형 ETF는 단순히 합한 5%가 아니라 곱하기 효과까지 발생해서 약 +5.06% 의 수익률을 기록해요. 반대로 환율이 떨어지면 손실이 더 커집니다. 비용 차이: 환노출 vs 환헤지 💰 환헤지형 ETF는 따로 ‘환율 방어’를 해야 하니까 당연히 비용 구조가 더 무거워요. 국내 상장된 대표 상품인 KODEX ETF 의 총보수율을 비교해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