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배당 ETF 투자 가이드: 타미당, 코미당, 에미당 그리고 SCHD 비교

 

타미당, 코미당, 에미당이란 무엇인가요? 한국판 미국 우량 배당 ETF로 불리는 이들 상품은 월배당과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타미당, 코미당, 에미당을 처음 접하는 분들은 상당히 궁금하실 겁니다. 

분명 미국 SCHD ETF와 비슷한데, 각각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떻게 투자해야 할지 모르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ETF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려고 해요. 😊 

미국 SCHD ETF와 비교하며 투자 전략과 세금 이슈까지 다룰 예정이니 끝까지 함께해 주세요!


Three financial charts comparing Korean dividend ETFs with the US SCHD ETF, showing growth and dividends


1. 타미당, 코미당, 에미당 개념 및 상장 기본 정보 📝

먼저, 이들 ETF는 모두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 배당주 중심 ETF입니다. 각각의 공식 명칭과 특징을 살펴볼게요.

ETF명 상장일
시가총액
(2025년 7월 기준)
보수(연)
기본 배당금
지급주기
TIGER 미국배당
다우존스(타미당)
23.06 2조 원대 0.01% 월배당
KODEX 미국배당
다우존스(코미당)
24.08 3,000억 원대 0.0099% 월배당
ACE 미국배당
다우존스 (에미당)
21.10 6,000억 원대 0.01% 월배당

이 세 ETF는 모두 미국 우량 배당주를 편입해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미국 SCHD ETF는 국내외에서 인기 있는 미국 고배당주 ETF이며, 이들 ETF는 각각 SCHD에 대응하는 한국판 같은 느낌이에요.


Investor analyzing monthly dividend ETF performance on multiple screens with US and Korean stock market visuals


2. 상품 설명과 투자 전략 💡

세 ETF 모두 미국 배당주 지수를 추종하지만 각각 전략과 구성종목에 차이가 있어요.

  • 타미당: 미국 배당이 우수한 대형 우량주 중심으로 구성, 안정적이고 꾸준한 월배당 제공을 목표로 해요.
  • 코미당: 타미당과 유사하며 추가 수익 창출에 노력합니다.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 월배당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해요.
  • 에미당: 다우존스 고배당 지수를 추종하며 중대형 우량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에게 추천돼요.

투자전략은 장기 보유를 전제로 월배당 수익을 꾸준히 받으면서 미국 대형 우량주의 성장과 배당 재투자를 동시에 추구하는 형태입니다. 

특히 월배당이기 때문에 꾸준한 현금흐름이 필요한 투자자에게 인기가 많아요.

미국 SCHD ETF와 비교하면, SCHD는 미국에 상장된 실물 ETF로 한국 ETF에 비해 시가총액이 훨씬 크고 다양한 종목(약 100여 종목)을 편입합니다.

하지만, 타미당 등은 선별된 미국 배당 우량주 위주로 심플하게 구성된 점이 차이입니다.


Dividend payment calendar highlighting monthly payout dates for ETFs with tax information overlay"

3. 분배금과 관련 세금 안내 ⚠️

이들 ETF는 월배당 방식이며, 2025년 기준 평균 월배당 수익률은 약 3~4% 수준이에요. 배당금 지급일은 매월 15일 전후가 일반적입니다.

한국 투자자는 배당소득에 대해 아래 세금을 고려해야 합니다.

  1. 국내 배당소득세 15.4% (지방소득세 포함)이 원천징수됩니다.
  2. ETF가 미국 주식에 투자하므로 미국 원천징수세 15%가 배당금에서 먼저 차감됩니다.
  3. 미국 배당소득세는 한미 조세조약에 의해 15%로 제한되며, 한국에서는 외국납부세액 공제로 중복과세를 방지합니다.

결과적으로 월배당금의 약 23~25% 정도가 총 세금으로 나가며, 세후 배당 수익을 고려한 투자 계획이 필요해요.


Split screen of Korean stock exchange and US NASDAQ with focus on dividend stock ETFs


⚠️ 주의하세요!
ETF마다 보수와 투자 전략, 세금 처리 방식에 다소 차이가 있으니 반드시 운용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세금관련 전문가 상담도 권장합니다.


4. 투자 팁과 전략 📌

  • 분산 투자: 세 ETF를 조합해 투자하면 각각의 전략과 보수가 보완되어 안정성과 수익률 면에서 유리할 수 있어요.
  • 장기 투자: 월배당 수익을 재투자하며 복리 효과를 누리려면 3년 이상 장기 관점 유지가 유효합니다.
  • 리밸런싱 시기 파악: 각 ETF의 리밸런싱 주기를 확인해 시기 맞춰 투자하면 효율적입니다.
  • 세금 절감: 연금 계좌(ISA, 연금저축 등) 내 투자 시 배당소득세 절감 혜택을 챙길 수 있습니다.

Close-up of hands holding smartphone showing Korean dividend ETFs and US SCHD ETF performance charts

💡 알아두세요!
월배당 ETF는 주가 변동성 외에 달러 환율 변동성에도 영향받으니, 환헤지 수단이나 원화 환산 기준으로 투자 수익률을 체크하는 습관이 필요해요.


5. 미국 SCHD ETF와 비교

구분 한국 ETF (타미당 등) 미국 SCHD ETF
상장시장 한국거래소(KRX) 미국 나스닥(NASDAQ)
투자 대상 미국 배당 우량주 미국 고배당주 (약 100종목)
월배당 여부 월배당 분기배당
운용보수 0.01% 내외 0.06%
환율 영향 원화 환산 시
환율 변동 영향
달러 기준 투자,
환율 영향 직접적
세금 처리 국내 배당소득세와
미국 원천징수세 적용
미국 내 원천징수 후,
국내 신고 시 외국납부세액공제
Graph showing comparison of expense ratios and dividend yields between Korean ETFs and US SCHD ETF


SCHD는 장기 성과가 입증된 ETF이며 보수도 매우 저렴하지만, 월배당을 원한다면 한국 ETF가 좀 더 매력적인 옵션일 수 있어요. 

물론 투자 성향에 맞게 선택하는 게 중요하답니다.

여기까지, 타미당, 코미당, 에미당과 미국 SCHD에 대한 핵심 정보를 정리해 봤어요.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 😊


같이 보시면 좋은 글

나스닥100 ETF

미국 배당다우존스 ETF